🧩 기본적인 설정 파일 구성
다국어 블로그 운영을 당장 해놓을 생각이 없더라도, 미리 구조를 잡아 놓는 것이 편할 수도 있다.
이 게시글은 (Jimmy의 Stack 테마)를 기준으로 하였다.
이 게시글은 한국어를 기본으로, 부가적으로 영어를 설정한다.
config/_default/config.toml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주었다.
|
|
- 현재 기본 언어를 한글로 하여
defaultContentLanguage = "ko"로 해주었고, 한중일 중 하나의 언어를 기본으로 한다면,hasCJKLanguage = true로 설정해야 한다. weight는 언어 리스트의 순서가 된다.languageName은 언어 리스트에서 보이는 언어의 이름이 된다.subtitle은 사이드바에 보일 블로그 주인의 프로필 메시지라고 보면 된다.- 언어마다 다르게 페이지의 제목을 변경하고 싶다면,
languages.ko.title에 이름을 지정해주면 된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
|
📝 다국어 페이지 작성법
글을 작성할 때, 아래와 같은 구조를 사용해야 한다:

|
|
content/post/글제목/index.<언어코드>.md의 형식을 지켜야 한다.
그리고, 게시글의 slug를 통해서 같은 번역글끼리 바인딩된다.
/content/post/multilingual-test/index.en/md에 다음과 같이 작성해보자.
|
|
content/post/multilingual-test/index.ko.md에 다음과 같이 작성해보자:
|
|
테스트 서버를 켜보자.
|
|

게시글을 들어가서, English를 눌러보면, 이렇게 번역 페이지로 이동한 것을 볼 수 있다!

🎭 게시글 이외의 영역들에도 다국어 세팅해두기
영어 번역 페이지에는 사이드바다 비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page, content, 등등의 home역할을 하는 마크다운 파일들도 다국어 세팅을 각각 해줘야만 한다.
categories또한 마찬가지이다.
Pages가 무엇인지와, categories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다음 게시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단은 현재 있는 것들에 대해서만 번역 레플리카를 만들어주자.
아래와 같이 Content내부의 Markdown 파일들도 다국어로 구성해주면 된다!

만약 더 추가적인 설정이 하고 싶다면, i18n/<언어코드>.toml을 만들어서 기존 설정을 오버라이드 하면 된다.
기존 i18n 파일들의 설정은 여기에서 확인가능하다.
📚 References
Stack by Jimmicai - config/i18n
Hugo Documnet - content management/multilingual
Hugo Document - configuration/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