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ctl은 kube-apiserver에 api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kind는 로컬 컴퓨터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쉽고 빠르게 구성하게 해주는 도구이다.
kubectx는 kubectl이 어느 클러스터에 접속할지, 어느 사용자와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할지에 대한 context를 쉽고 빠르게 전환할 수 있도록 돕는다.
kubens는 네임스페이스의 전환을 돕는 도구이다.
🏗️ 설치
kubectl, kind설치 kubectx, kubens 설치
|
|
🐳 kind 구성
kind설치가 완료되었다면, kind에 실제 클러스터를 만들어주자.
아래 yaml을 작성해주면 된다.
|
|
이 yaml은 2개의 노드를 가진다. 아래 명령어를 통해서 워커 노드를 2개 생성해주자.
|
|
노드들의 리스트를 가져와보자.
|
|
🛠️ 명령어 기본 사용 가이드
kubectl
kubectl의 기본 명령은 다음과 같다:
|
|
command: 하나 이상의 리소스에서 수행하려는 동작을 지정, 주로 동사이다.applygetcreatedescribedelete- 등등..
TYPE: 리소스 타입을 지정한다. 단수형, 복수형, 약어 모두 지원한다.posvcdeployrsstsnonspvpvcds- 등등..
NAME: 여러 개의 리소스를 지정하여 작업할 수 있다.flags: 여러 개의 선택적 플래그를 지정할 수 있다.
kubectl의 기본 설정 파일은 ~/.kube/config에 존재한다.
여기서 API 엔드포인트를 정할 수 있다.
kubectx, kubens
kubectx는 쿠버네티스의 context를 쉽게 전환시켜 준다.
하나의 kubectl로 여러 클러스터를 넘나들기 편하게 해준다.
kubectx로 리스트를 불러올 수 있고, 현재 상태도 확인 가능하다.
kubectx <context>로 컨텍스트 전환이 가능하다.
kubens는 namespace 전환을 쉽게 해준다.
kubens로 리스트를 볼 수 있고, kubens <namespace>로 쉽게 네임스페이스 전환이 가능하다.